분류 전체보기 (62) 썸네일형 리스트형 양봉이야기 봄철 꿀벌관리 월동포장 해체 채밀자격군 계상 이른 봄 월동포장을 해체를 하고 산란을 많이 받아 강군을 만들어야 4월 20일경에 계상을 올릴 수가 있습니다. 계상벌을 잘 키워야 5월 아카시아꿀을 많은 수확이 보장이 된다. 지난번에도 서두에 말을 했듯이 10통에 약군보다 1통에 강군이 더 많은 꿀을 채밀을 할 수가 있다고 강조를 한 바가 있다. 봄벌은 이래서 중요하다는 말을 다시 한번 강조를 합니다. 월동포장 해체예전에는 선배양봉인들은 월동 포장을 할때 벌통과 벌통사이에 앞뒤로 볕집을 묵어 벌통사이즈에 맞추어 잘라 벌통 양옆에 앞뒤로 대주고 가운데는 왕겨를 채워서 월동을 했다 그래서 이곳에는 생쥐가 서식을 하였다. 2000년도 농부아재는 처음 양봉을 할 때 이렇게 월동을 하지 않고 100 티짜리 스티로 풀을 이용하여 월동을 했다. 바닥에는 겨울철 .. 양봉이야기 봄철 꿀벌관리 장려급사 도봉 소비 전환 과 반전 양봉을 하다 보면 그때그때 꼭 하여야 하는 일들이 이따 그러기 위해 양봉인은 꿀벌보다 더 부지런하여야 한다 이 말은 먼동이 트이기 전 양봉장에 가서 할 일을 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놀아도 이왕이면 양봉장에서 놀면서 벌들의 활동을 주시하여 관찰을 하면 양봉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장려급사봄벌 1차 내검을 통해 벌을 축소하여 먹이가 많은 꿀소비도 넣어 주웠는데 왜 사양을 하느냐 하겠는데 장려급사는 먹이가 부족하여 주는 것이 아니라 일벌들이 일을 하지 않고 여왕은 산란을 멈추고 하면 벌들이 일을 할 수 있는 여권을 조성하기 위하여 자극 사양을 한다고 보면 된다. 이것을 장려급수라고 칭한다. 도봉지구상에 모든 생물계는 끊임없이 약육강식의 생존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꿀벌은 무밀기에 이웃 벌통에 꿀을 훔.. 양봉이야기 봄철 꿀벌관리 1차 내검편 양봉을 하다 보면 모든 것이 중요하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봉군 관리라고 한다. 봄벌 관리가 잘되여야 그해 꿀 수확에 성패가 달려있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매년봄이면 모든 양봉인들이 많은 정성을 들여 봄벌을 관리를 한다. 오늘에 주제는 제목에서 언급한 봄철 꿀벌관리 1차 내검 편, 월동벌이 붙은 소비축소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1. 차 내검 편농부아재 가 살고 있는 중부지방으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중부지방은 보통 매년 2월 20일경 외기 온도가 8℃ 이상으로 올라가기를 기다려 월동을 하려고 덮어준 보온덮개를 걷어올리고 겨울 동안 혹시 벌통 내부에 생쥐가 들어가지 안아나 확인을 한다 간혹 겨울철 벌통으로 생쥐가 들어가서 큰 쥐가 되는 일이 간혹 발생을 한다. 겨울철 월동포장에 신경을 쓰면 생.. 양봉이야기 봄철 꿀벌 관리 이른 봄의 산란월동 중에 소문이 노출된 꿀벌은 창고 또는 암실에서 월동을 한 꿀벌보다 먼저 산란이 시작된다. 그중에도강군보다 약군이 먼저 산란을 시작한다. 또한 신왕보다는 구왕이 산란이 빠르다고 보면 된다. 남부지방의 봄벌 키우기여기에서 말하는 글은 농부아재 가 남부지방 봄벌을 키우는 이야기를 주제로 합니다. 농부아재 봄벌 봉장은 전남 고홍 00면 중부지방 농부아재네 월동봉장에서 월동을 난 꿀벌을 12월 말경 따듯하고 포근한 날 아침 일찍 히 벌통을 싣고 전남 고홍으로 고고 예전에는 농부아재네 집에서 고홍을 가려면 아침 일찍 출발을 하여도 오후 3시경에 도착을 하였는데 지금은 도로가 잘 되어있어 예전보다 시간이 많이 단축이 되었다. 양봉장에 도착을 했다면 미리 만들어 놓은 양봉장에 벌들을 내려놓고 .. 양봉이야기 벌꿀 양봉 사계관리 기본 원칙부터 배우기(하) 초보 양봉인을 위한 양봉용어 기구설명양봉을 처음 할 때 선배양봉인들이 이야기를 할 때 무슨 말인가 한다 그것은 양봉 관련 용어와 기구 이름을 모르기 때문에 힘이 든다 농부아재도 23년 전 처음 양봉을 할 때가 생각이 난다. 아무리 양봉서적을 구매하여 읽어 뭐가 뭔지 이해를 못 하여 힘이 들을 적이 생각난다.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초보양봉인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양봉장(벌을 키우는 장소)양봉장을 마련할 때는 인가가 없는 산밑에 터전을 잡는 것이 벌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인가 주변에서 양봉을 하면 여러 가지 요소가 맞지를 않는다 첫째 가로등 때문에 나쁘다 둘째는 이름봄 월동을 난 벌들이 날아다니면서 탈 분(벌똥)을 한다 마을에 여기저기 노랗게 벌똥을 싸 빨래도 널어.. 양봉이야기 벌꿀 양봉 사계관리 기본 원칙부터 배우기(상) 초보자를 위한 양봉관리 기초 편벌꿀 생산은 수많은 요소와 관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벌꿀 양봉 사계관리 기본 원칙부터 배우기 이를 위해 아래의 기본 사항을 숙지하고 실천해 보세요. 1. 벌통 설치와 배치벌통은 벌들이 서식하고 꿀을 생산하는 공간입니다. 벌통의 위치와 배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장소로는 벌통의 방향을 동남향으로 뒤쪽은 북향으로 산이 가로 박아주면 최고의 양봉장입니다 햇빛을 받는 장소에 설치하고, 바람과 비를 피할 수 있도록 배치하세요. 2. 벌집 준비 벌집은 벌들이 쉬고 유봉을 키우고 벌들의 먹이 꿀과 화분을 저장하는 곳입니다. 벌집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깨끗한 벌꿀 토사를 준비하세요. 만약에 준비된 벌집(소비)가 적으면 벌집(소비)을 만들어야 합니다. 벌집이 완성된 벌.. 농사이야기 입동 전 꼭 할일 김장 무 짠지 담그기 입동 전 꼭 할 일 김장 무짠지 담그기 예로부터 입동(立冬)은 24 절기 중 19번째 절기다.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옛날부터 입동 전에 김장 무짠지를 입동 전에 담그고 입동날은 김치 거리을 만지질 않아다, 입동(立冬) 전에 무짠지 김장을 왜 할까.농부아재도 예전에는 무엇 때문에 옛 선조들께서는 입동 전에 무짠지를 담그고 입동날은 김장 거리을 만지질 말라했나 무척이나 궁금하였다. 농사를 하다 보니 바로 이것 때문에 하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바로 기온이 정답이다. 상강이면 첫서리가 내려 이른 아침 밭에 김장을 보면 하얀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렇듯 입동이 지나면 기온이 떨어져 어떤 때는 영하로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무가 얼어 맛난 김장을 할 수가 없어.. 농사이야기 김장배추 정식부터 수확까지 물주기는 언제까지 가 좋을까. 김장배추 정식부터 수확까지 물 주기는 언제까지 가 좋을까. 중부지방은 보통 8월 20일 ~ 30일까지 나 9월 초에 정식을 하는 농가가 많이들 이때쯤 정식을 한다. 농부아재네도 요즘은 보통 8월 말경에 배추정식을 하는 편이다 그것은 모두가 잘 알다시피 기온이 예전보다 많이 올라 이때쯤 정식을 하고 있다. 1, 배추는 물을 좋아하면서도 물을 싫어한다.김장배추를 8월 말 경. 9월 초 정식을 하고 나면 대량 이 무렵이면 가뭄으로 기다려도 비는 오지를 안는다. 이때는 어쩔 수 없이 물을 적기에 준다. 관주시설이 된 농가는 알맞은 영양제를 물과 함께 줄 수가 있지만 그렇지 못한 농가는 어쩔 수 없이 스프링클러를 이용하던지 조로대를 이용하여 주던지 일부농가에서는 배추고랑에 물을 대주는 농가도 있다. 물을 줄..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